일본 정부가 근로자가 주 4일 일하고 3일 쉬는 '주3일 근무제 선택제' 도입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새로운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해 다양한 작업 방식이 도입되었고, 정부는 이를 지원하고 제도화하기 시작했습니다.
6일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집권 자민당 '1억 총활동추진본부'는 오는 중간보고서에 주5일 근무제 권고안을 담을 계획입니다. 이는 6월 일본 정부가 발표할 '경제재정운용지침'에 반영될 것입니다. 가토 가쓰노부 관방장관은 5일 기자간담회에서 "보육, 간병, 투병 등 삶과 일의 균형을 위해 다양한 업무 방식을 추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코로나19가 장기간 이어지면서 재택근무나 시차근무제 등 일본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근무 스타일이 정착되고 있습니다. 아사히신문은 주5일 근무제가 동일한 탄력근로제 중 하나로 도입되면 원하는 직원만 주4일 근무를 할 수 있고 월급도 10~20% 정도 줄어들 것이라고 보도했습니다.
일본에서는 이미 채용기관과 IT기업 야후재팬이 주 4일 근무를 허용하는 제도를 도입했습니다. 정부는 이 사업을 장려·지원하고 민간기업에서 공공부문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그것은 또한 고령화 사회를 다루기 위한 것입니다. 일본에서는 70세까지 기업의 고용기회 보장 의무를 규정한 '고용보안법'이 1일부터 시행됐습니다. 법안은 66세 이상 근로자가 프리랜서 계약 등 다양한 형태로 일할 수 있도록 했지만 주 5일 근무제가 대안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직장인들이 주 3일 휴무일만 있으면 농촌에서 새로운 일자리와 취미를 찾을 수 있어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기업들이 인건비 절감과 추가 고용을 반기고 있지만, 인력난에 시달리는 중소기업에는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아사히신문은 부담을 줄이기 위해 주 5일 근무제를 도입하는 기업에 대한 지원책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