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세기 한국 최초의 여성 서양화가, 나혜석
1896년 4월 18일 경기도 수원에서 태어나 1946년경 서울에서 사망하다.
주요 작품으로는 <농부>, <자화상>, <스페인 해수욕장>이 있습니다.
오빠의 권유로 미술을 시작했으며, 여권신장을 옹호하는 글을 쓰고, 3·1운동에 참가했다가 투옥되는 등 진보적인 성격을 지녔다고 합니다.
다양한 국가를 여행하면서 야수파 형식의 그림을 그렸고, 귀국 후에는 사회에 저항하는 글을 썼지만 무시당했습니다.
생활고에 시달려 각지를 돌아다니며 유랑 생활을 하다가 생을 마감했습니다.
호는 정월(晶月)입니다.
신문학을 존중하는 개화된 가정에서 5남매 중 둘째로 태어났습니다.
도쿄에 유학중이던 오빠 경석의 권유로 1913년 도쿄 여자미술전문학교에 입학하여 유화를 전공했습니다.
유학시절에는 최승구·이광수와 사귀면서 동경 유학생 동인지였던 <학지광>에 여권신장을 옹호하는 <이상적 부인> 등의 글을 발표했습니다.
1918년 미술학교를 졸업하고 함흥 영생중학교, 서울 정신여자고등학교 미술교사를 지내다가 3·1운동에 참가 후 체포되어 수개월간 투옥되기도 했습니다.
1920년 변호사 김우영과 결혼했고, 남편의 도움으로 1921년 서울 경성일보사 내청각(來靑閣)에서 첫 전람회를 열었습니다.
서울에서 열린 최초의 서양화전시회로, <매일신보>의 기사에 의하면 "낙역부절하여 인산인해"(絡繹不絶人山人海)였다고 합니다. 1923년 일본 외무성 관리가 된 남편을 따라 만주에 거주했습니다.
1927년 모스크바를 거쳐 프랑스·영국·이탈리아·스페인 등을 여행하면서 미술관과 박물관을 견학하고 파리에서는 야수파 계열의 그림을 그렸습니다.
제1~11회까지 조선미술전람회에 9번 출품하여 제3회 때 <가을의 정원>으로 4등상, 제4회 때 <낭랑묘 娘娘廟>로 3등상, 제5회 때 <천후궁 天後宮>으로 특선을 받았습니다.
유럽 여행 중 사귄 최린과의 만남이 문제가 되어 귀국한 뒤인 1931년 이혼했습니다.
그 뒤 사회의 인습적인 도덕관에 저항하는 <우애결혼, 실험결혼>·<이혼고백서> 등 자신의 입장을 강변하는 글을 발표했으나 사회의 냉대로 점점 소외되었습니다.
1935년 생활비를 벌기 위해 전시회를 열었지만 주목받지 못했습니다.
그 뒤에는 수덕사·해인사 등을 전전하며 유랑생활에 들어가 정확한 행적을 알 수 없습니다.
1946년 서울 자혜병원에서 행려병자로 쓸쓸히 인생을 마감했습니다.
나혜석의 작품은 크게 1918년 도쿄 여자미술전문학교를 졸업할 때부터 1927년 무렵 만주 봉천 시기까지, 유럽 체류에서 1930년대 초반까지, 그리고 미술활동을 거의 중단한 이후의 3시기로 나눌 수 있습니다.
초기에는 사실주의적 경향의 작품을 그렸습니다.
1924년 판넬에 제작한 <만주 봉천 풍경>은 안정된 구도에 색채의 표현이 부드럽고, 비교적 정확하게 묘사되어 있어, 서양화 도입 초기의 사실주의적이고 인상주의적인 화풍을 견고하게 다지고 있었음을 보여줍니다.
유럽 여행을 통해서는 활달한 필치와 과감한 표현으로 점차 바뀌어 갔습니다.
<자화상>(1928)에서는 강한 색채의 대비적 효과를 살린 표현기법으로, <스페인 해수욕장>(1928경)·<불란서 마을 풍경>에서는 거침없는 필치에 자유분방한 기법으로 야수파적인 면모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1931년 이혼 이후 생활과 정신의 불안정을 반영하듯 작품에는 생동감과 활발함이 사라졌으며 작품창작도 거의 하지 않았습니다.
죽은 뒤에 그의 글을 모아 <날아간 청조>·<에미는 선각자였느니라> 등이 발간되었습니다.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인계동에 위치한 나혜석거리입니다.
나혜석 거리는 수원 태생인 최초의 한국 여성 서양화가 정월 나혜석 여사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조성된 약 300m 가량의 문화 거리로 문화예술회관, 효원공원, 야외 음악당 등을 연결하는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도로 내 분수대, 음악이 흐르는 화장실, 조경수가 잘 조성되어 있는 보행자 전용 도로로서 거리 공연과 같은 다양한 볼거리, 주변의 전문식당가로 먹거리가 산재해 있어 많은 사람들이 찾는 문화와 만남이 공존하는 거리입니다.
최근 SBS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에서 시대를 앞서간 '모던걸' 나혜석의 이야기가 방영되었는데요,
나혜석은 배우 나문희의 고모할머니로, 또 한국은행 총재를 역임했던 김건의 어머니로 알려져 있습니다.
<출처: Daum 백과>